['해바람이잇다' 뉴스레터1호] 해바람이 한다 - 1.5도 라이프스타일
페이지 정보

본문
1.5도 라이프스타일 살아보기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이야기하면서 때때로 우리는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들을 통제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틀린 말은 아닙니다. 전 세계적 차원에서 건설업, 전력산업, 그리고 석유산업 분야에서 100개의 화석연료 관련 기업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72% 책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업이 만들어내는 상품은 우리가 소비합니다. 전기를 쓰고, 자동차를 타고 새로 건축된 아파트에서 살고 석유를 원료로 만들어진 옷과 신발, 가방을 구매합니다. 따라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책임과 함께 소비자인 우리가 물건을 구매하고 이용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도 필요합니다. 소비는 매일, 매 순간 이뤄집니다. 매일의 소비를 바꾼다면 삶의 방식이 바뀌고 세계도 달라집니다.
한국 정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다른 국가들처럼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은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산업 부문의 기업들과 에너지 회사들도 이 목표 안에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해야 합니다. 옥스팜의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의 온실가스 배출을 따져 본다면, 전 세계적으로는 개인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30년에는 1인당 2.5톤, 2040년에는 1.4톤, 2050년에는 0.7톤으로 떨어져야 합니다.
개개인의 삶이 기후 위기 대응에 맞춰 변화해야 한다는 것, 따라서 1.5°C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의 웰빙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섭니다. 좋은 소비에 한정되지도 않습니다. 소비 방식의 변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단순히 어떤 물건을 사느냐, 얼마의 돈을 쓰고 여기에서 탄소 배출이 어느 정도인가를 넘어서 우리의 사회적 관계의 양상, 지역 간 삶의 양식의 차이, 각기 다른 삶의 실천이 불러오는 사회적 변화의 가능성을 드러냅니다. 그래서 유엔환경계획(UNEP)은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자연 자원 사용과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모두를 위한 공정성과 번영을 지원하기 위해서, 한 사회에 내재되어 있고 개인의 선택에 틀을 제공하는 제도, 규범 및 인프라에 의해 촉진되는 습관과 행동 패턴의 묶음”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를 가족의 수만큼 소유하는 것, 넓은 집에 물건을 쌓아두고 사는 것, 얼리어답터가 되고 과시적 소비를 지속하는 것의 기후 영향을 돌아보게 합니다. 누군가는 더 많이 소비함으로 기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누군가는 소비를 충분히 할 수 없어서 삶의 기초가 무너져 있다는 사실을 돌아보도록 합니다.
1.5°C 라이프스타일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한편, 누구든지 따뜻한 집에 살며 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공동체적 고민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생태적 한계와 삶의 기초 안에서 순환하는 경제활동의 방법을 1.5°C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논의 되기를 바랍니다.
1.5도 라이프스타일 맛보기 '1.5도 계산기'를 통해 개인의 탄소배출량을 알아보세요~
1.5도 라이프스타일 맛보기 ▶ https://ipwn.or.kr/surveys/questionnaires/91833a231b5f/feedback
※ 이 사업은 녹색전환연구소, 전환사회시민행동, 인천평화복지연대와 함께합니다.
인천해바람협동조합에서는 9월 조합원분들과 한달살기 실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1.5도 라이프스타일 살아보기를 함께 실천해요.
- 다음글['해바람이잇다' 뉴스레터1호] 해바람이 해바람을 만나다 - 박미애대의원 25.07.14